[음악도시 인천으로 가는 여정] 2. 음악도시 인천,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정유천)

시설 설립 중심 사업보단
뿌리깊은 현 인프라 활용

지난해 인천시는 ‘음악도시 인천’ 종합 계획을 발표했다. 핵심은 2021년부터 5년간 총 39개 사업에 3544억원을 들여 인천을 음악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많은 도시가 음악도시를 추진했다. 처음 관심을 가진 지자체는 광명시다. 2004년부터 시작된 ‘광명첨단음악밸리’ 사업이 처음 시작된 ‘음악도시’ 사업이다. 그런데 각종 공연장과 스튜디오시설 등 17개 시설이 들어서는 하드웨어 중심 예산 투입 계획 등의 한계로 2007년 지자체장이 바뀌면서 폐기됐다.

이후 광주광역시는 아시아문화전당 사업 내의 ‘아시아음악타운’이라는 이름으로 역시 음악도시를 추진하지만 이 또한 ‘뮤직비즈니스센터’ 설립 등 하드웨어 중심으로 추진되며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천 부평구도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2016년 ‘부평음악융합도시’ 사업에 선정, 2020년 사업을 종료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이 외에 서울시 도봉구가 ‘서울아레나’를 중심으로 음악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고 있고 동두천시가 ‘케이락빌리지(K-Rock Village)’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진행 중인 음악 관련 여타 지역의 사업들과 실패담들 속에서 그렇다면 인천 음악도시는 어떻게 만들어 나아가야 할까.

가장 먼저 왜 인천은 음악도시를 하여야 하는가와 인천음악도시에 대한 정체성을 정의 하는 일이 급선무다. 그리고 역사성과 현재성을 바탕으로 인천 음악도시에 대한 시민의 공감대를 끌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해 보인다.

포럼과 라운드테이블, 퍼실리테이터 등을 진행해 시민과 지역음악인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관(官)주도나 타 지역 전문가 중심이 아닌 지역민과 지역음악인 지역 관련 전문가들이 주체가 되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일 또한 꼭 필요하다.

이미 사업을 추진했던 타 지자체의 사례에서 보듯이 지나친 하드웨어 중심은 사업 예산사용의 피로도를 높일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새롭게 공연장이나 공간들을 짓는 것보다는 인천시나 기초 자치단체에서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공간 그리고 민간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공간이나 시설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시설 짓기 중심의 사업은 지속 가능하지 못하다.

인천은 지역의 역사성과 현재성 그리고 펜타포트락페스티벌과 INK(Incheon K-POP Concert) 등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음악축제와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 라이브공간 등 음악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좋은 기반을 갖추고 있다.

이제 이러한 인프라를 재료로 시민들과 지역음악인, 그리고 관이 함께 민관거버넌스를 구축해 소통하며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음악도시 인천은 실현 가능한 인천의 미래가 될 것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